이유식 도중 아기가 보이는 다양한 행동과 그 이유
이유식을 먹는 동안 아기는 손가락을 빨거나, 귀를 만지거나, 코를 비비거나, 심지어 다리를 막 움직이는 등 다양한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어떤 날은 잘 먹다가 갑자기 먹던 음식을 뱉어내기도 하고, 옹알이를 하면서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습관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런 행동들은 아기의 성장과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유식 도중 아기가 보이는 여러 가지 행동과 그 이유, 그리고 부모가 어떻게 대응하면 좋은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이유식 중 손가락을 빠는 이유
- 구강 감각 자극
아기는 입으로 세상을 탐색합니다. 손가락을 빨면서 입안의 감각을 확인하고, 이유식의 새로운 질감을 느끼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 치아가 나려고 할 때
이 시기의 아기들은 첫 이가 나거나 이미 난 치아가 더 자라면서 잇몸에 가려움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손가락을 빨면서 자연스럽게 잇몸을 문지르는 것입니다. - 포만감 신호
이유식을 먹는 중간에 손가락을 빠는 것은 "배가 좀 찼어요!"라는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억지로 더 먹이기보다는 아기의 반응을 지켜보며 천천히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저희 아이의 경우 닭가슴살 간거를 먹거나 또는 밥알이 큰 경우 손가락을 입에 넣어 빼는 경우도 있고 손가락을 넣어 입안을 정리하는듯 보였어요. 또는 손가락을 빠는적도 있었는데 이런 경우 대부분 먹기싫어서 그랬던것 같아요. 맛있으면 입을 쫙쫙 벌리거든요.
2. 이유식 중 다리를 움직이는 이유
- 기분이 좋아서
아기가 기분이 좋거나 이유식을 즐기고 있을 때 다리를 흔들거나 찰싹찰싹 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신나는 표정과 함께 이런 행동을 보인다면 긍정적인 신호일 가능성이 큽니다. - 집중이 잘 안 될 때
배가 고프지 않거나 주변 환경이 산만하면 이유식에 집중하지 못하고 다리를 계속 움직이기도 합니다. - 불편하거나 지루할 때
의자에 오래 앉아 있거나, 이유식 시간이 길어지면 불편함을 느끼고 몸을 움직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처법
- 아기가 다리를 흔들면서도 잘 먹는다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 하지만 너무 심하게 움직여 이유식을 먹기 힘들다면, 잠깐 쉬어가거나 물을 한 모금 마시게 해 주세요.
- 식사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15~20분 내에 마무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저희 아이의 경우 왜인지 모르지만 기분이 좋을때 다리를 엄청 움직였어요. 표정을 보면 기분이 좋은게 보이더라구요. 밥이 맛있다는 건지 아니면 그냥 상황이 즐거운건지 다리를 많이 흔들어요.
3. 이유식 중 귀를 만지는 이유
- 새로운 감각을 탐색하는 과정
이유식을 먹는 동안 입안에서 느껴지는 새로운 질감이 낯설거나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 - 치아가 나는 중
이가 나는 과정에서 잇몸 불편감이 귀까지 영향을 줄 수 있어 귀를 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피곤하거나 졸릴 때
특히 이유식 시간이 낮잠 시간과 겹친다면 더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처법
- 치아가 나는 시기라면 치발기를 사용해 잇몸을 마사지해 주세요.
- 귀를 계속 만지면서 짜증을 낸다면 귀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병원 진료를 받아보세요.
--> 주로 이유식 먹기 싫을때 귀를 만지거나 코를 비비거나 머리를 만지거나 그랬어요. 그러면 한두번 더 시도해보고 이유식을 중단하였어요.
4. 이유식 중 코를 비비는 이유
- 음식물이 코 주변에 묻었을 때
본능적으로 코를 비비면서 닦아내려고 할 수 있습니다. - 감각 자극이 강할 때
특정 음식이 강한 향이나 맛을 가지고 있으면 코를 비비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졸릴 때
아기가 졸릴 때 눈을 비비는 것처럼, 코를 비비면서 피곤함을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처법
- 물티슈로 코 주변을 닦아주고, 실내 습도를 조절해 주세요.
- 너무 피곤한 상태라면 식사를 빨리 끝내고 휴식을 취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5. 이유식 중 음식을 뱉어내는 이유
- 새로운 음식이 낯설 때
처음 접하는 재료나 질감이 부담스러워서 뱉는 경우가 많습니다. - 포만감 신호
배가 부르면 더 이상 먹고 싶지 않다는 신호로 음식을 뱉어낼 수 있습니다. - 삼키는 기술이 미숙할 때
아직 씹고 삼키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면 음식이 입안에서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대처법
- 억지로 먹이기보다는 천천히 적응할 시간을 주세요.
- 아기가 물을 한 모금 마신 후 다시 먹는다면, 조금 더 먹을 준비가 된 것이니 천천히 다시 시도해 보세요.
- 하지만 계속 뱉는다면 식사를 마무리하고 다음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 물 한모금 먹고 다시 이유식을 먹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먹기싫어해서 음식을 뱉어내면 반 밖에 안먹어도 중단하였어요.
6. 아기가 이유식을 잘 먹도록 돕는 방법
- 이유식 시간은 15~20분 내로 유지하기
- 다리를 심하게 움직이면 잠시 쉬어가기
- 손가락 빨기, 귀 만지기, 코 비비기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기
- 음식을 뱉어도 억지로 먹이지 않고, 다시 먹을 의향이 있는지 확인한 후 진행하기
결론
이유식 중 아기가 보이는 다양한 행동은 성장 과정의 일부이며,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다리를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빠는 것은 아기의 자연스러운 반응이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부모가 아기의 신호를 잘 읽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유식을 진행하면 더욱 즐거운 식사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아이 중기 후기 이유식 거부, 어떻게 해야할까? (2) | 2025.03.13 |
---|---|
아기의 잠자는 자세, 개구리자세 괜찮을까? 모든 것을 알려드려요! (0) | 2025.03.11 |
아기가 새벽에 일찍 깨는 이유? 종달기상의 원인과 해결법 (2) | 2025.03.01 |
모유수유 6개월 이상 성공하는 법! 실패의 원인과 경험에서 얻은 교훈 (1) | 2025.02.24 |
아기 애착인형, 언제부터 필요할까? 선택부터 세탁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2.23 |